정치인, 특히 국회의원들 사이에 익히 알려진 상식 중 하나가 `극도로 민감한 이야기를 나눌 때는 사무실에 있는 화분을 모두 복도에 내놓아야 한다`는 것이다. 도청 가능성 때문이다. 실제 첩보 영화에서나 등장하는 도청 장치나 GPS, 첨단 `몰래카메라(스파이캠)` 등 끊임없이 타인의 사생활 침해 논란을 불러일으키는 최첨단 장비가 무분별하게 유통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국회의 경우 정보위원회를 제외하곤 여전히 24시간 도청 방지 시스템이 설치돼 있지 않는 등 아직도 수많은 정부 부처와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 기업 등의 도청 보안은 허술한 상태다.
이에 따라 정부는 지난해 4월 국가 정보보안 기본지침을 개정해 중앙행정기관과 그 소속·산하기관, 지자체와 산하기관, 공공기관은 기관장실·회의실 등 중요 시설에 무선 도청 탐지 시스템을 설치하도록 했다. 대상 기관은 6800여 곳이나 되는데, 올해 말까지 무선 도청 탐지 시스템을 설치하기로 한 곳은 100여 곳으로 2%에도 못 미친다. 인식 부족에 따른 예산 미확보가 주된 이유다. 기업들도 일부 대기업을 제외하곤 마찬가지 상황이다.
이에 국가보안기술연구소에서 도청 탐지 기술을 유일하게 이전받아 제품을 생산하고 있는 지슨(대표 한동진)이 12월부터 국내 최초로 도청탐지기를 `렌탈 서비스`하기로 했다. 정부가 지슨에 대해 `민간 판매`를 금지했던 제한을 사실상 올해부터 푼 데 따른 것이다.
한동진 대표는 "IT 발달로 초소형·지능형 도청기가 난무해 1회성 점검으로는 탐지가 불가능한 만큼 24시간 도청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정보 보호 렌탈 서비스를 고안했다"면서 "이상 신호를 신속히 분석해 1분 이내에 문자메시지 등으로 도청 사실을 알려준다"고 설명했다. 세계적으로 도청 탐지 장비를 독자 개발한 나라는 한국을 포함해 미국, 영국, 독일, 러시아, 일본, 이스라엘 7개국뿐이다.
지슨이 선보인 도청 탐지 렌탈 서비스는 정부기관, 공공기관, 기업, 개인을 가리지 않고 월 40만~50만원 수준의 탐지단말기 렌탈 비용만 내면 무기한 이용할 수 있도록 관리까지 해주는 구조다. 고객이 기존에 별도로 구매해야 했던 서버 기기(약 3000만원)와 단말기(1000만원 이상) 비용을 부담하지 않아도 될 뿐 아니라 별도의 관제 인력을 둘 필요가 없다. 결론적으로 렌탈 서비스를 이용하면 구입 때보다 비용이 20% 이상 저렴하다. 지슨 도청 탐지 시스템은 보통 1대당 100㎡(약 30평) 공간에서 사용하는 만큼 기관 또는 회사 규모에 따라서는 수십 대에서 수백 대까지도 설치하게 된다.
한 대표는 "통신장비는 기본 수명이 7년 안팎으로 정수기 등 기존 렌탈 가전제품보다 오래가고 추가 비용 없이 제품을 리뉴얼해주기 때문에 구입보다 렌탈 비용이 더 저렴해진다"면서 "게다가 렌탈이 회계상 회사 자산으로 잡히지 않고 세금을 줄일 수 있는 비용처리가 가능한 장점도 있다"고 강조했다.
[민석기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출처 - https://www.mk.co.kr/news/business/view/2015/11/1135142/
-
PREV 이전 글이 없습니다.
-
NEXT [KES 2016 Model 특집] 지슨, 광대역 이용한 원격 관제 도청탐지 시스템 선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