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About GITSN

홍보센터

미국이 중국 정보통신기술(ICT) 제품을 배제하고 있는 이유로 안보 위협을 들고 있다. 중국 인민해방군 출신인 런정페이 화웨이 회장이 중국 정부와 모종의 연계 속에 미국 통신체계에 침투해 기밀 유출 등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화웨이가 제작한 통신 장비에 `백도어(뒷문)`가 있다는 주장은 미국 언론에서 처음 제기했다.


블룸버그 뉴스위크는 지난해 10월 미국 정부와 업체 관계자 말을 인용해 "중국이 초소형 칩을 이용해 미국 애플과 아마존 등 30개 업체에 침투했다"고 보도했다. 이들 기업 서버에서 발견된 초소형 칩이 데이터를 몰래 빼내갈 수 있는 `백도어` 기능을 한다는 것이다. 애플이나 아마존은 미국 국방부 사업도 수주하기 때문에 이 같은 보도는 큰 파문을 일으켰다. 실제로 초소형 칩으로 데이터를 훔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게 전문가들 시각이다.


국내에서 유일하게 시스템 도·감청 보안 전문 업체를 운영하는 한동진 지슨 대표는 "무선 백도어가 기술적으로 실현될 수 있다"고 귀띔한다. 초소형 칩이 서버에서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무선으로 송출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는 특히 "무선 백도어 기능을 하는 스파이칩은 제조 과정에서 넣을 수 있고, 제품이 완성된 후에도 누군가 심어 넣을 수 있지만 이것을 찾아내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심지어 스파이칩을 원격 조종해 기기 작동을 중단시키는 `킬 스위치` 기능을 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한 대표는 "인터넷 기반으로 운영되는 국가 중요 시설에서 킬 스위치가 작동되면 안보에 즉각적인 위협이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상진 고려대 교수(정보보호대학원장)는 미국이 화웨이를 압박하는 것은 미·중 패권 경쟁이라는 큰 틀에서 봐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는 "중국 제품의 (정보 탈취) 문제가 부각되면서 통신 네트워크 보호는 전 세계적인 이슈로 떠올랐다"며 "유럽은 통신망을 구축할 때 하드웨어는 중국산, 소프트웨어는 미국산을 쓰지만 정보 유출 등을 막기 위해 이를 검증하는 기술은 스스로 만든다는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안두원 기자] 매일경제


출처 - https://www.mk.co.kr/news/world/view/2020/01/6345/